졸업
서양사학과 교과목 이수 규정 (2022학번 이전)
서양사학과 이수 규정은 학번별로 상이하므로, 아래 게시판에서 학번별 “서양사학과 졸업이수확인서”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
https://whistory.snu.ac.kr/16402/
역사학부 서양사학전공 전공교과목 이수규정 (2023학번 이후)
구 분 | 공 통 | 서양사 | 교차이수 | 합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한국사 | 동양사 | 선택 (서양사 제외) |
||||
심화전공 | 12 | 27 | 9 | 9 | 3 | 60 |
주전공/복수전공 | 12 | 12 | 6 | 6 | 3 | 39 |
부전공 | 12 | 9 | – | – | – | 21 |
[공통과목군 필수 이수]
- ① <역사 공부의 기초> 또는 <역사학 세미나> 중 한 과목
- ② <원어로 읽는 유럽사> (* <노문사적강독>으로 대체 가능)
- ③ <역사학 논문쓰기> 1, 2, 3 중 한 과목
[전공 유형별 필수 요건]
– 심화전공/주전공/복수전공: ①~③– 부전공 : ①~②
• 아래 교과목들은 서양사학 전공과목군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
– <노문사적강독> (1061.301, 인문대 연계전공 러시아학)
– <글로벌 냉전의 이해> (M132.000900) 사회대 정치외교학부)
– <문화와 역사> (206.416A, 사회대 인류학과)
– <경제사> (212.203, 사회대 경제학부)
– <미술사와 시각문화> (100.160, 인문대 미술사학과)
* 위 과목들은 서양사학전공 학생들의 경우에만 전공 인정 가능하다
역사학부 서양사학전공 답사 규정
역사학부 학생은 졸업까지 국내, 해외를 포함하여 역사학부 답사에 2번 참가하여야 한다. 이때 역사학부 답사란 역사학부와 역사학부 내 세부전공(한국사학전공/동양사학전공/서양사학전공)이 주관한 답사 일체를 의미한다.
- 국사학과/동양사학과/서양사학과에서 역사학부 한국사학전공/동양사학전공/서양사학전공으로 학적을 변경한 경우에도 역사학부 답사 의무화 내규를 적용한다.
- 역사학부 내 세부전공(한국사학전공/동양사학전공/서양사학전공)을 복수전공하는 경우는 아래 항목에 따른다.
1) 역사학부 답사 2회 참가 의무
– 타학과(부) 주전공자가 역사학부 내 세부전공을 1개 복수전공 하는 경우
2) 역사학부 답사 3회 참가 의무
– 역사학부 주전공자가 역사학부 내 세부전공을 1개 복수전공하는 경우
– 타학과(부) 주전공자가 역사학부 내 세부전공을 2개 복수전공 하는 경우
3) 역사학부 답사 4회 참가 의무
– 역사학부 주전공자가 역사학부 내 세부전공을 2개 복수전공하는 경우
– 타학과(부) 주전공자가 역사학부 내 세부전공을 3개 복수전공 하는 경우
역사학부 서양사학전공 교양교과목 이수 규정
교양교과목 이수 규정은 학번별로 상이하므로, 아래 게시판에서 “20xx학년도 인문대학 교양 이수 규정”과 “인문대학 졸업이수 의무사항” 및 “2025학년도 공통교육과정 개편 전후 교과목 비교표”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
https://whistory.snu.ac.kr/16402/
졸업 신청
- 졸업을 계획하고 있는 학생은 졸업예정학기 수강신청 이전에 학과 사무실에 연락하여 졸업 요건을 모두 충족하였는지 확인해야 한다
- 졸업을 계획하고 있는 학생은 졸업학기 1/4선까지 온라인으로 졸업신청을 완료하여야 한다
- 졸업학기는 반드시 등록 상태여야 한다
- 졸업신청 후 졸업을 취소하고자 하는 학생은 7월 초, 1월 초까지 졸업신청을 취소하고 학과 사무실로 연락해야 한다
- 꼭 졸업학기 아니라도 졸업 관련하여 상담이 필요한 학생은 언제든 학과 사무실로 연락 바랍니다